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애플 vs 삼성 실적 비교

by Life_Story 2025. 2. 6.
728x90

애플, 역대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 기록

애플은 2023년 4분기(애플 회계연도 기준 2024년 1분기) 매출 1243억 달러(약 181조2700억원)와 영업이익 428억 달러(약 62조4200억원)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9%, 5.9% 증가한 수치로, 특히 애플의 아이폰 부문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아이폰, 전체 매출의 55.6% 차지

아이폰은 애플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인 691억 달러(약 100조7700억원)를 차지하며, 다시 한번 애플의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이 매출은 애플 회계연도 2023년 4분기 기준으로 역대 두 번째로 큰 수치입니다. 특히 2023년 4분기 동안 애플은 약 7900만 대의 아이폰을 판매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삼성전자 실적과 비교

삼성전자는 2023년 4분기 75조8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한 성과를 보였지만, 그 매출 중 약 25%는 삼성의 모바일 사업부인 MX사업부에서 발생한 수익입니다. 이 사업부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등 다양한 제품군이 포함됩니다. 반면 애플의 아이폰 매출은 그 자체로 삼성의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보다 더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삼성의 MX사업부 매출 25조원은 아이폰 매출의 약 4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판매량 차이, 매출 격차를 설명하다

애플의 아이폰 판매량은 약 7900만 대로, 전년 동기(약 8000만 대)와 비교해 소폭 감소했지만, 매출에서 보인 격차는 그보다 더 큽니다.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5200만 대의 스마트폰을 판매했으며, 애플보다 약 2700만 대 적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차이는 아이폰의 프리미엄 라인업 덕분에 발생한 매출 차이로, 삼성은 중저가 모델의 비중이 높아 평균 판매 가격(ASP)이 낮기 때문에 매출 격차가 더욱 확대됩니다.

비교그래프

애플의 프리미엄 전략

애플은 전체 판매 제품의 95% 이상을 고가의 프리미엄 라인업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매출 증대의 주요 원동력입니다. 반면 삼성은 갤럭시 A 시리즈와 같은 중저가 모델의 비중이 80%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와 같은 판매 전략 차이로 인해, 아이폰이 삼성보다 적은 판매량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매출을 올리는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 변화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삼성은 2022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21.6%의 점유율로 1위에 올랐지만, 2023년에는 애플(20.1%)에게 1위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삼성의 점유율은 19.5%로 감소했으며, 이로 인해 애플은 0.7%포인트 차로 삼성보다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 자리를 확고히 했습니다.

애플의 성장과 삼성의 대응 전략

애플은 판매량과 매출 모두에서 삼성전자보다 우위를 점하며, 스마트폰 시장에서 더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은 갤럭시 S25 시리즈와 폴더블폰 등 프리미엄 라인업에 집중하여 마진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위기를 극복해야 할 시점에 있습니다. 특히, 프리미엄 제품의 마진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애플과의 매출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 프리미엄 전략의 승패

애플의 성공은 사실상 프리미엄 전략에 의한 결과입니다. 높은 평균 판매 가격과 프리미엄 라인업에 집중한 애플은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의 추격을 여전히 따돌리고 있습니다. 반면, 삼성은 중저가 모델 위주의 전략을 펼쳐왔으나, 최근에는 프리미엄 라인업을 강화하며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향후 삼성의 대응 전략에 따라 두 기업 간의 실적 차이는 계속해서 변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728x90